문자열 연산
문자열의 덧셈 연산 : "문자열 + 문자열"
문자열의 곱셈 연산 : "문자열 * 정수"
str1 = "Hello "
str2 = "World!"
num = 5
result1 = str1 + str2
result2 = str1 * num
print(result1)
print(result2)
인덱싱과 슬라이싱
프로그래밍에서 인덱스(index) : 수많은 데이터 중 원하는 항목을 쉽게 찾도록 기록된 표기
문자열은 하나로 보일지라도 문자마다 값을 가지기 때문에 인덱싱이 가능하다.
인덱싱 : 문자열에 포함된 각 문자에 대해 순차적으로 번호를 매기는 것
"변수 이름 [인덱스값]"
인덱스값은 인덱스 번호를 뜻하고 '0'부터 시작
뒤에서부터 접근할 경우는 '-1'부터 시작
a = "Hello World!"
b = a[4] + a[5] + a[6]
print(a[0], a[1], a[-1], a[-3]) #뒤에서 접근하기 위해 '-'를 붙임
print(b) #a[5]는 공백인 것을 확인
문자열 자료형은 Immutable 타입으로 한번 초기화하면 사용자 임의로 값을 바꿀 수 없다.
예) str = "Hello"일때, str[2]="u"라는 코드를 통해 str을 Heulo로 바꿀 수 없다.
슬라이싱 :지정 범위만큼 데이터 요소를 잘라내는 기능
"변수명 [첫 인덱스 번호 : 마지막 인덱스 번호]"
str = "Hello goorm!"
a = str[0:5] #0부터 4까지 잘라냄
b = str[:5] #맨 처음부터 4까지
c = str[5:] #5부터 맨 끝까지
d = str[6:-11] #'-'를 이용해 뒤 요소부터 접근 가능
print(a)
print(b)
print(c)
print(d)
인덱스 숫자 생략이 가능하다.
인덱스 번호에 '-'를 붙이면 뒤 요소부터 접근이 가능하다.
첫 인덱스값보다 마지막 인덱스 값이 작으면 빈칸이 반환된다.
(예) 5부터 1까지 슬라이싱
문자열 함수
함수 :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작된 명령 묶음
문자열 함수 : 문자열 혹은 문자열 변수 뒤에 '.'을 붙인 뒤 함수를 적어 사용
"변수 이름(혹은 문자열 자체).함수( )"
전달 인자 : 함수명 옆의 괄호 안에 들어가는 값
print (num)에서 num이 전달 인자이며, 함수에 따라 전달 인자가 없을 수도 있음
함수 | 설명 |
count( ) | 전달 인자의 문자 개수 반환 |
find ( ) | 함수의 대상이 되는 문자열에 전달인자와 같은 문자가 있는지 찾고, 그 문자가 처음 발견된 인덱스 값을 반환. 만약 전달 인자가 문자열 내에 없다면 -1 반환 |
index ( ) | find ( )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나, 전달 인자가 문자열 내에 없으면 오류 발생 |
join ( ) | 전달 인자 사이에 함수의 대상이 되는 문자열 삽입 |
upper ( ) / lower ( ) |
함수의 대상이 되는 문자열을 대문자로 / 소문자로 변환 |
lstrip ( ) / rstrip ( ) |
함수의 대상이 되는 문자열의 가장 왼쪽 / 오른쪽 공백을 모두 삭제 |
strip ( ) | 함수의 대상이 되는 문자열의 양쪽에 있는 한 칸 이상의 공백 모두 삭제 |
replace ( ) | replace(전달 인자1, 전달 인자2) 형식으로 사용, 함수의 대상이 되는 문자열에서 전달 인자1과 동일한 부분을 찾아 전달 인자2로 교체 |
split ( ) | 함수의 대상이 되는 문자열을 전달 인자 기준으로 쪼개 리스트로 반환 ex) "H!e!ll!o".split("!") -> ['H','e','ll',o] |
#함수를 활용한 예시 코드
str = " Hello world! I study Python. "
num = str.count(' ') #빈칸의 개수
print("빈칸의 개수는 %d입니다." %num)
print("처음 등장하는 'l'의 인덱스 값은 %d입니다." %str.find('l'))
print("Good day에서 처음 등장하는 'y'의 인덱스 값은 %d입니다." %"Good day".index('y'))
print(" ".join(str))
print(str.upper())
print(str.lower())
print(str.lstrip())
print(str.rstrip())
print(str.replace('Python', 'C'))
print(str.split())
len ( ) 함수 : 자료형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
"len(변수 혹은 값 자체)"
sentence = "I like studying Python"
print(len(sentence), len("Hello")) #22 5
공백까지 포함하여 결과 값이 나옴(자료형의 길이 반환)
이전 글 보기 :
2020/07/30 - [Programming Langue/Python (파이썬)] - [파이썬] 9. 리스트1
[파이썬] 9. 리스트1
리스트 : 값의 집합 리스트 선언 및 초기화 : "리스트 이름 = [요소1, 요소2, ...]" 비어있는 리스트 선언 : "리스트 이름 = list( )" 리스트 특징 : 같은 자료형끼리 묶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다. 리스��
playpray4me.tistory.com
이전 글 보기 :
2020/07/24 - [Programming Langue/Python (파이썬)] - [파이썬] 7. 문자열1
[파이썬] 7. 문자열1
문자열? 따옴표로 감싸져서 표현된 문자, 단어들의 묶음 어떤 문자든 문자 자체를 그대로 출력하지만, 따옴표로 감싸진 문자열에서 문자가 특별하게 인식되는 경우 따옴표 안에 같은 종류의 따�
playpray4me.tistory.com
해당 게시글은 구름EDU(https://edu.goorm.io)의 <한 눈에 끝내는 파이썬3> 강좌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모든 저작권은 구름에 있습니다.
'Programming Langue > Python (파이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10. 리스트2 (0) | 2020.08.03 |
---|---|
[파이썬] 9. 리스트1 (0) | 2020.07.30 |
[파이썬] 7. 문자열1 (0) | 2020.07.24 |
[파이썬] 6. 연산자2 (비트 연산자) (0) | 2020.07.22 |
[파이썬] 5. 연산자1 (수식, 할당, 논리, 관계) (0) | 2020.07.20 |